1등급 가전 환급 대상 및 신청 방법
1등급 가전 환급 대상 및 신청 방법

가정의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전기 요금을 절약하기 위해 정부가 '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'을 시행합니다. 이 사업을 통해 1등급 가전제품을 구매하면 구매 비용의 일부를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
하지만 모든 1등급 가전제품이 환급 대상은 아니며, 특정 품목과 구매 시기를 충족해야 합니다. 지금 바로 환급 대상 제품과 신청 방법을 확인하고,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.
이 글에서는 1등급 가전 환급의 핵심 정보를 쉽고 빠르게 정리해드립니다.
최대 30만 원 환급, 똑똑하게 가전제품 구매하자!
추천 컨텐츠 확인하기
환급 대상 제품 및 한도
으뜸효율 환급사업은 에너지 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구매하는 모든 국민에게 혜택을 제공합니다. 다만, 환급 대상 품목이 정해져 있으며, 개인별 환급 한도도 있습니다.
대상 품목 및 한도
-
환급 대상 품목
- TV, 냉장고, 김치냉장고, 에어컨, 세탁기, 의류건조기 등 총 11개 품목
- 각 품목별 에너지소비효율등급 라벨에 '1등급'이 명시된 제품
-
환급 한도
- 구매 비용의 10% 환급
- 개인별 최대 30만 원 한도
-
주의사항
- 환급 대상 모델은 한국에너지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
2025년 환급 신청 기간
환급 사업은 2025년 7월 4일 이후 구매한 제품에 한해 적용됩니다. 신청은 예산이 소진될 때까지 가능하며, 재원이 소진되면 조기 종료될 수 있으므로 구매 후 바로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.
신청 기간 요약
구분 | 내용 |
---|---|
구매 기간 | 2025년 7월 4일 ~ 예산 소진 시까지 |
신청 기간 | 2025년 8월 중 신청 시스템 오픈 예정 ~ 예산 소진 시까지 |
유의사항 | 예산 소진 시 조기 마감되므로 빠른 신청 필요 |
[참고] 환급 신청 시스템은 8월 중 오픈 예정이며, 구체적인 날짜는 추후 공고될 예정입니다.
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
환급 신청은 '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사업' 전용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으로 진행됩니다. 본인 인증 후 필요 서류를 업로드하면 되므로 절차가 간단합니다.
신청 절차 및 서류
-
신청 방법
- 으뜸효율.kr 접속 후 본인 인증
- 신청 정보(구매자, 제품 정보) 입력
- 필요 서류 업로드
-
필요 서류
- 제품 라벨 사진 (모델명, 효율등급, 시행일자 확인)
- 제조 명판 사진 (제조번호 확인)
- 구매 거래내역서 및 결제 영수증
추가 지원 혜택 (전기요금 복지할인)
전기요금 복지할인 대상 가구라면 한국전력공사에서 별도로 진행하는 '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'을 통해 더 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경우, 환급율이 15~30%까지 높아집니다.
한전 복지할인 대상 추가 지원
-
지원 대상
- 다자녀, 대가족, 출산 가구, 장애인, 국가유공자, 기초생활수급자 등
-
지원 금액
- 구매 비용의 15%~30% 환급 (가구당 연 최대 30만 원)
-
신청 방법
- 한전 고효율 가전제품 구매비용 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신청



추천 콘텐츠
-
신용카드소지자대출
신용카드소지자대출은 신용카드 보유자라면 소득이나 직업이 없어도 일정 기준의 카드 사용 실적과 신용도를 기반으로 대출이 가능한 상품입니다. 주로 카드사 또는 제2금융권에서 제공되며, 한도는 50만 원~300만 원 수준, 금리는 연 6~19% 내외입니다. 무직자나 프리랜서의 단기 생활자금 용도로 활용됩니다.
Read more -
신생아 특례대출 대환
신생아 특례대출 대환은 기존 전세자금 대출을 정부의 특례상품으로 갈아타는 제도로, 금리 인하 및 한도 확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신생아 출산 2년 이내 무주택 세대주가 대상이며, 부부합산 소득 1.3억 원 이하, 자산 3.45억 원 이하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 기금e든든 홈페이지 또는 협력 은행을 통해 신청 가능하며, 기존 대출 조건과 시기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.
Read more -
신혼부부 매매대출
신혼부부 매매대출은 생애최초 주택을 구입하려는 무주택 신혼부부를 위한 정부지원 대출 상품입니다. 혼인 7년 이내, 부부합산 연소득 8천만 원 이하 등의 조건을 충족하면 최대 4억 원까지 낮은 금리로 대출이 가능하며, LTV 최대 80% 혜택도 제공됩니다. 주택도시기금 포털 또는 협약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.
Read more